카테고리 없음

영어속독을 위한 슈퍼브레인--<29> 속독과 이해력 향상

리첫 2016. 2. 13. 14:59

<29> 속독과 이해력 향상

 

에세이나 소설을 읽는 사람 가까이 앉아 그의 눈을 관찰해 보면 그의 눈이 지속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동공은 인쇄된 글 한 행을 읽을 때 몇 번 멈추었다가 다시 움직인다.

 

독서할 때의 이런 측면을 ‘고정’ 혹은 ‘동공 정지'라 부른다. 이제 앞에서 독서하는 사람을 다시 주시하고 그의 눈이 행을 따라가다가 멈추는 횟수를 세어 본다면, 여러분은 '아이 스팬'이라고 알려진 독서 과정의 두 번째 측면을 관찰하게 될 것이다. 눈의 정지 횟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아이 스팬 혹은 눈이 다음번에 멈출 때까지 단번에 보는 행의 부분이 넓어진다. 속독속해의 달인은 인쇄된 여러 행을 다양하게 바라본다. 여기 정지 횟수 혹은 아이 스팬의 몇 가지 실례가 있다.

 

일반적으로 정지 횟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독서는 더 효율적이 된다.(그러나 이것은 읽을거리에 좌우됨을 기억하라. 시는 천천히 읽는다. 그리고 한 가지 사실을 찾는 경우에는 대충 훑어 읽는다.) 초등학교에서는 각 단어를 입으로 소리 내는 법을 배운다. 그때는 이것이 필수적이다. 소리에 대한 문자기호가 어린이에게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각 단어는 어린이가 그것을 보고 곧 인식할 정도로 자주 보기 전까지는 수고스러운 공격을 계속 받아야 한다.

 

많은 사람들은 단어별로 읽는 이 방식을 여전히 고수한다. 그러나 눈은 여러분이 상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나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눈은 상당히 큰 ‘광각 렌즈’이므로 한 번에 짧은 단어 하나보다 더 많은 단어를 읽도록 훈련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한 번에 몇 개의 단어 혹은 ‘사고 단위’를 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한 번 책을 읽는 사람을 주시해 보라. 그의 눈이 때때로 ‘후퇴’ 혹은 ‘회귀’ 하는 것을 볼 것이다. 한 행을 다시 읽는 것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것은 좋은 버릇이 아니다. 흔히 동공 운동에 리듬이 결여되어 있을 때가 있다. 여러분의 동공이 자주 회귀한다면 이것은 여러분의 동공이 이쪽에서 저쪽, 이 줄에서 다음 줄로 적당히 움직이는 것을 통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책 읽는 사람을 주시해 보면 동공 정지 기간이 다양함을 알게 될 것이다.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훨씬 더 길 것이다. 이러한 습관 역시 대개는 좋은 것이 아니다. 동공 정지 기간은 매끄럽고 효율적이어야 한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