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자유교육<21>
현대적 자유학교 릴레스콜레의 특징(1)
지난 1930년대 설립된 수많은 사립학교들은 상당 부분 개혁교육학적 단초를 함축하고 있다. 자유실업학교나 종립학교의 경우는 좀 덜했으나 ‘현대적 자유학교’인 작은학교(릴레스콜레)의 경우 이 성격이 강하다. 이 형태는 사립학교 영역과 공립학교 영역에서 구현되었는데, 실제 문제가 있어서이기도 했지만 학부모들 스스로 그렇게 느낀 데서 기인하기도 했다. 그래서 공립학교에서 사립학교로 옮겨 가거나 사립학교를 설립하는 식으로 상황이 전개되었다. 종교 수업을 너무 적게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기독교 사립학교 형태를 대안으로 삼았다. 반대로 너무 많다고 느낀 경우는 개혁교육학적 정신을 기반으로 하지만 사회주의적 노선에서 작은 학교를 대안으로 삼았다. 최근 사립학교들은 특히 대도시를 중심으로 번창하고 있다. 이들 학교 안에서 시도되는 교육은 보통 공립학교와는 분명 다르게 이루어진다.
현대적 자유학교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학부모들은 자체로 모임을 구성하여 자유학교를 설립할 수있으며 국가로부터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단, 재단은 학교의 설립에 관한 계획과 규약을 만들어 제시해야 한다. 이 경우 재단은 학교를 설립하기 위한 경비로 4,000유로(원화로 600만원 정도)를 국가에 납입해야 한다.
* 자유학교는 학교의 일상과 문화를 자체적으로 조직할 자율성과 자유를 보장받는다. 자유학교에서는 교육 구조를 창조적으로 바꾸고 실험할 수도 있다. 교사와 학부모는 학교에서 힘을 모아 대안적 틀을 만들 수 있다.
* 학부모회가 있으며 위원회가 대표한다. 위원회는 재정에 책임을 지며 교장, 교사와 함께 학교 문화와 미래를 구상한다.
* 자유학교들이 공유하는 주요 이념이 있다. 요약하자면 ‘민주적 사회 안에서 살기’, ‘지식을 발전시키고 강화하기’, ‘기본적 자유의 권리와 인간의 권리’, ‘양성 평등적 가치를 존중하기’ 등이다.
* 민주 이념과 목표는 덴마크 학교 체제에서 매우 중시된다. 민주주의가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필요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학교 제도 내에서 일률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이 있다. 교육학적, 사회적 계획과 도전들은 토의에 붙여지고 모든 교사와 직원들의 토의를 거쳐 결정된다. 학부모는 학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부모는 일 년에 몇 차례씩 초대를 받아 아이들에 관한 대화에 참여하여 이들의 사회적, 창조적, 학문적 능력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서 아이들은 적절한 도움을 받는다. 아이들의 역할은 학교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능력과 연령에 따라 주요 결정에 참여한다. 대부분의 학교에는 학생회가 있고 대의 민주주의 방식으로 운영된다. 대의 민주주의를 넘어 직접 민주주의를 시행하는 학교도 있다.
* 자유학교는 교육학적, 철학적, 종교적 믿음에 따라 자체 목표와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가진다. 평가 방법과 내용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교육법은 자유학교에 대해 광범위한 유연성을 부여하고 있다.
* 자유학교 교사들(공립학교 교사 역시)은 교육학적 신념을 구사하기 위한 자유(확장된 형태로)를 보장받고 있다. 교육 방법을 자유로이 구사하기 위한 역사적 전통도 있다. 이 전통은 덴마크 교육제도에서 매우 중요하다. 참여, 창조성, 사회적 인식은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지녀야 할 중요한 가치다. 모든 교사는 그들의 공통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자기 자신만의 길을 발견해야 한다. 팀워크 역시 중요한데, 이는 가르치는 과정에서 교사 개인의 자유를 긍정적 길을 통해 구현하도록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