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재능은 어떻게 단련되는가?<94>--“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1)

리첫 2022. 9. 27. 16:45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1)

 

위대한 성과를 달성하는 동기에 관하여 가장 핵심적인 질문은 그 동기가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하는 점이다. 분명 무언가가 이끌었기 때문에 그들은 그 길을 갔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그런 힘든 과정을 견딜 수 있었겠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동기가 틀림없이 내부에 있다고 생각한다. 내적 동기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면 수십 년 동안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에 따르는 희생과 고통을 감수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많은 연구들이 이런 견해를 뒷받침한다. 특히 창의성을 발휘하는 동기에 관한 연구는 그 동기가 과연 내재적이냐 외재적이냐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는 두 가지 점에서 우리의 논의에 유용하다. 하나는 분야를 막론하고 창의성은 이미 달성된 기존의 성과를 뛰어넘어 새로운 성과를 만들어 냄으로써 가장 높은 수준의 성과를 나타낸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효율적인 연습과 마찬가지로, 창의성을 발휘하려면 강도 높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양한 분야를 조사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뛰어난 창의적 성과에는 항상 내재적 동기가 함께 했다. 창의적인 사람들은 자기 자신(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나에게 이익이 될까?)이 아니라 과업(이 문제를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맞추었다. 과학과 수학에 뛰어난 젊은이들은 실력이 그보다 떨어지는 또래들보다 더 강한 내적 동기를 갖고 있었다. 또 역사적으로 중요한 발견을 한 과학자들은 자기 분야에 관한 한 누구보다 열정적이었다. 창의적인 성과자들은 대부분 과학과 상업, 예술 등 자기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수십 년의 세월을 바쳤다.

 

어떤 관점으로 보든 결과는 마찬가지다. 다양한 심리 실험에서 내재적 동기가 강하게 작용하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더 창의적인 결과물을 내놓았다. 마찬가지로 예술가나 과학자처럼 창의성이 요구되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내재적 동기를 측정한 검사에서 확실히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시카고 대학의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교수는 내재적 동기를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연결할 수 있는 (여러 가능성 가운데) 한 가지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그는 자신의 유명한 연구에서, 몰입이란 시간이 천천히 가고 즐거움이 커지며, 전혀 힘들지 않게 느껴질 만큼 어떤 일에 빠져든 상태라고 설명한다. 이런 황홀감은 자신이 도전하는 과업과 자기가 가진 기술이 잘 맞아떨어질 때 느껴지는 기분이다. 만약 과업이 너무 쉬우면 그 경험은 지루해지고, 너무 어려우면 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몰입을 경험해 본 사람은 한 가지 일을 달성하며 반드시 더 큰 도전 과제를 찾고, 몰입의 경험을 유지하기 위해 더 높은 기술 수준을 갖추려 한다. 칙센트미하이는 창의성을 추구하는 많은 사람들이 바로 그렇게 하고 있으며, 그 과정은 자신의 현재 능력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도록 끊임없이 스스로 채찍질하는 계획된 연습 과정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몰입의 개념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을 하도록 만드는 동기에 관한 수수께끼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연구는 아직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가능성을 내포한다. 하지만 실제 현실에 비춰볼 때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이론에는 작은 모순들이 존재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연습은 즐길 만한 일이 아니다.’

 

자기가 잘하지 못하는 부분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따라서 반복적으로 실패를 경험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어도 스포츠 분야에서는 최고 수준의 선수들이 종종 이와 정반대 경험을 한다고 보고했다. 레슬링 선수, 스케이트 선수, 축구 선수, 필드하키 선수, 격투기 선수를 조사한 결과 연습은 유희성 측면에서 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여자 테니스 세계 1위였던 모니카 셀레스(Monica Seles)1999<뉴욕타임스>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저는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연습하는 걸 정말 좋아해요.”

 

이런 반응은 에릭슨의 연구에 참여한 바이올린 연주자들과 사뭇 대조를 이룬다. 연주자들은 연습을 꽤 끔찍한 일로 여겼다. 생각해보면 운동선수들이 연습을 즐기는 이유는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하는 사회 활동이기 때문일 수 있다 반면 바이올린 연주자들의 연습은 사회 활동이 아니다. 하지만 좀 더 깊은 수준에서 우리는, 어쨌든 연습이 몇 년 동안 강도 높게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연습을 통해 그 사람의 내적 욕구가 채워진 부분이 있기 때문이라고 봐야 한다. 여기서 우리는 연습이 황홀감을 경험하는 몰입의 상태를 이끌어 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