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도르프학교 2

덴마크의 자유교육<35>

다른 종류의 사립학교들 앞서 말했듯이 자유학교는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해 왔다. 역사적으로 보자면, 덴마크 사립학교 전통에는 두 갈래 흐름이 있다. 하나는 앞서 말한 그룬트비와 콜의 전통에 서 있는 자유학교이다. 재학생이 2백 명을 넘는 경우가 매우 드문 이 학교들은 덴마크 자유학교협회(Den Friskoleforening) 회원 학교들이다. 총 259개 학교가 가입한 이 단체는 덴마크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자유학교협회이다. 다른 협회도 있는데, 릴레스콜레협회(Lilleskolernes Sammensluntning, 1960년대 독일의 개혁교육학적 흐름에, 발맞춰 설립된 학교들의 모임)는 소속 학교가 40여 개가 되고, 기독교자유학교협회(Foreningen of Kristne Friskoler, 1970년대..

카테고리 없음 2020.11.10

덴마크의 자유교육<4>

다섯째는 앞서 세 유형의 학교를 배경으로 20세기 중엽 이후 또 다른 세계관이나 사회문화적 근거 아래 다양한 자유학교들이 생겨났다는 점이다. * 작은학교(lilleskole, 릴레스콜레): 196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일어났던 문화운동 내지 개혁교육운동 흐름을 타고 설립된 자유학교다. 릴레(lille)란 ‘작은’이란 뜻으로, 보수적인 공립학교에 대한 사회주의적 대안학교 성격을 띠고 있다. 52개 학교, 7,400여 학생이 있고, 이들이 모여 결성한 릴레스콜레협회가 있다. * 자유실업학교(realskole): 19세기 후반에 자유학교와 같은 방식으로 설립되었다. 이념이나 교육학 때문이 아니라, 농촌이나 도시에 지적으로 재능 있는 아이들에게 공립학교보다 좀 더 나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카테고리 없음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