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학교 2

덴마크의 자유교육<35>

다른 종류의 사립학교들 앞서 말했듯이 자유학교는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해 왔다. 역사적으로 보자면, 덴마크 사립학교 전통에는 두 갈래 흐름이 있다. 하나는 앞서 말한 그룬트비와 콜의 전통에 서 있는 자유학교이다. 재학생이 2백 명을 넘는 경우가 매우 드문 이 학교들은 덴마크 자유학교협회(Den Friskoleforening) 회원 학교들이다. 총 259개 학교가 가입한 이 단체는 덴마크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자유학교협회이다. 다른 협회도 있는데, 릴레스콜레협회(Lilleskolernes Sammensluntning, 1960년대 독일의 개혁교육학적 흐름에, 발맞춰 설립된 학교들의 모임)는 소속 학교가 40여 개가 되고, 기독교자유학교협회(Foreningen of Kristne Friskoler, 1970년대..

카테고리 없음 2020.11.10

덴마크 자유교육<20>

20세기 자유학교의 전개 양상, 교육 단계와 유형별 특징 20세기 초엽의 상황과 독일 개혁교육학의 영향 20세기 초엽의 덴마크에서는 그룬트비-콜 식의 접근과는 또 다른 양상이 전개된다. 그것은 바로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형성된 개혁교육학(Reformpädagogik)의 영향으로 가장 중요한 전달자는 페터 페터젠(Peter Petersen, 1884~1952)이다. 예나대학 교수였던 페터는 예나 플랜(Jena Plan)을 발전시킨 인물로 덴마크의 수많은 강연에서 자신의 사상을 전파했다. 핵심 부분에서 그룬트비-콜의 방식과 페터젠의 방식 사이에는 많은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다. 삭막한 책 지식을 거부함, 체벌 금지, 벼락치기 공부와 암기 거부, 엄격히 구획한 교과 구분에 따른 도식적 시간 분배 거부,..

카테고리 없음 2020.10.14